한미 외교차관 회담 개최…박윤주 "실질적 제도개선 조치 취해야
한미 외교차관 회담[외교부 제공]
[세계타임즈 = 이채봉 기자] 미국 국무부의 고위당국자가 미국의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 이후 이뤄진 한국과 회담에서 유감을 표하고 유사 사태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이번 사태에 대한 미국 고위 당국자의 유감 표명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부는 14일 서울 청사에서 박윤주 1차관과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 간의 한미 외교차관 회담이 열렸다고 밝혔다.랜도 부장관은 이번 사태가 일어나게 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이번 사태를 제도 개선 및 한미관계 강화를 위한 전기로 활용해 나가자고 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 문제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귀국자들이 미국에 재입국시 어떠한 불이익도 없을 것이며, 향후 어떠한 유사 사태도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아울러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활동이 미 경제·제조업 부흥에 대한 기여가 크다는 점을 절감하고 있는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한국 근로자들의 기여에 합당한 비자가 발급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 관련 실무협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자고 했다.
박 차관은 우리 기업 근로자들이 부당하게 미국내 구금시설에서 감내해야 했던 불편한 처우에 대해 언급하며, 해당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들이 이번 사태로 인해 깊은 충격을 받았던 것에 유감을 표했다.박 차관은 미측이 우리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재발방지 및 제도개선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요청했다.박 차관은 구금 사태 초동 대응 직후 이뤄진 랜도 부장관의 방한이 후속 조치를 위한 논의뿐 아니라 한미 관계의 굳건함을 보여주는 시의적절한 방문이라고 평가했다.이번 구금 사태 해결 과정에서 한미 양 정상간 형성된 유대관계와 양국의 호혜적 협력의 정신이 작용했음을 평가한다면서 귀국자의 미국 재입국시 불이익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맞춤형 비자 카테고리 신설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 논의를 위한 외교- 국무부간 워킹그룹 창설과 비자 관련 상담창구 개설 등 후속조치 이행에 박차를 가하자고 했다.조현 외교부 장관도 이날 차관 회담에 앞서 랜도 부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이번 구금 사태가 양국에 윈윈이 될 수 있도록 부장관이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지난달 정상회담에서 나온 정상간 합의사항이 신속하고 충실하게 구체적 조치로 이행될 수 있도록 부장관이 직접 챙겨봐 달라고 독려했다.
차관 회담에서는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와 지역 및 글로벌 정세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양측은 이달 유엔 총회, 내달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국제행사를 계기로 한 한미 고위급 외교 일정에 관해서도 논의하면서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조선, 원자력, 첨단기술 등 분야에서 진전된 협력 성과를 도출하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양측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미측이 피스메이커, 한국이 페이스 메이커로서 각자 역할을 다해 나가자고 했다. 랜도 부장관은 한국의 대북정책을 잘 이해한다며 향후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자고 했다.한편 랜도 부장관은 이날 오후 용산구 전쟁기념관도 방문했다고 전쟁기념사업회가 전했다. "전쟁기념관은 피로 맺어진 한미관계를 보여주는 곳"이라며 "이러한 관계는 누구도 해체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방명록에 '나의 조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젊은이들이 인류의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위대한 희생을 기리는 장소'라고 썼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